음향 관련/음향 입문 팁 썸네일형 리스트형 [음향] 다이나믹 레인지 (Dynamic Range) 나름 검색, 정리를 좀 해봤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다이나믹 레인지 (Dynamic Range)는 어떤 기기 혹은 공간에서 소리를 내거나 날 때 가장 커질 수 있는 dB값과 가장 작아질 수 있는 dB값의 범위를 말한다. 다이나믹 레인지 (Dynamic Range)를 구하는 방법은 가장 큰 dB의 값인 피크 레벨(peak Level)과 가장 조용한 크기의 잔류 소음 즉 노이즈 플로어(Noise Floor)를 빼는 것이다. 쉽게 말해 노이즈 플로어(Noise Floor)가 50dB인 공간에서 어느 사람이 노래를 부를 때 그 사람이 낼 수 있는 최대 소리, 피크 레벨(peak Level)이 90dB이라고 가정해보자. 그렇다면 다이나믹 레인지는 피크 레벨 (90dB) - 노이즈 플로어 (50dB) = 4.. 더보기 간단 팁) DD 드라이버와 BA 드라이버 항상 이어폰들을 보면 다이나믹 드라이버,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등 뭐라는지 모르는 이름이 적혀있는데요. 오늘은 그 드라이버에 대해 알아봅시다. 드라이버는 소리가 나오는 발음체를 의미합니다. DD 드라이버는 베이어다이나믹에서 1937년 최초 개발한 방식으로, 우리가 평소에 자주 볼 수 있는 스피커와 헤드폰에서도 사용되는 전자석을 이용, 앞에 있는 얇은 막을 움직여 소리를 내는 방식인데요. 여기서 앞의 얇은 막이 다이나믹하게 움직이며 소리를 발생시켜 다이나믹 드라이버(DD)라고 불립니다. 저주파 특성을 가진 저음의 특성상 공간 전체를 울리는 힘이 필요한데요. 얇은 막이 다이나믹하게 움직이는 DD 드라이버는 이런 풍부한 저음을 내는데 유리합니다. 또한 공간 전체를 울리는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진동하는 얇.. 더보기 밀폐형과 오픈형의 각 장단점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살 때 오픈형과 밀폐형으로 나뉘는데요. 오늘은 이 둘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설명해볼까 합니다. 1. 밀폐형(커널형) 가장 대표적인 밀폐형 이어폰 삼성의 EO-IG955B Tuned by AKG 장점: 커널형 이어폰은 외이도에 삽입하는 형태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귓 구멍을 막는 방식이라 외부 소리 차단 능력이 뛰어나며 그로 인해 외부 소리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선명하게 음악을 들을 수 있습니다. 단점: 귀를 막은 채로 듣는 것이기 때문에 소리가 부자연스럽고 뭔가 답답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추천:귀를 막는 형식이기 때문에 사람이 많거나 혹은 소리가 새어나가면 안 되는 조용한 환경에서 음악을 듣고자 하시는 분들이 사용하기에 좋습니다. 2. 오픈형 대표적인 오픈형 이어폰 애플의 이어팟.. 더보기 막귀 탈출에 대한 팁 아마 이 글을 보는 사람들은 제 블로그를 방문하시던 분들이거나 막귀에 대해 생각에 잠기신 분들일 겁니다. 그런 분들에게 몇 가지 팁을 드리고자 합니다. 1.막귀라는 생각을 버려라 전 막귀라는 것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신체적인 문제로 인해 소리를 구별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는 제외합니다.) 자신이 막귀라고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나 막귀인데 이런 거 사서 들어서 뭐 할까"라는 생각 때문에 더욱더 음질과 멀어지게 될 것입니다. 2. 환상을 버려라(처음부터 구분할 수는 없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좋은(비싼) 이어폰은 처음 들었을 때부터 엄청난 오케스트라가 펼쳐질 것이라고 생각하시는데요. 이런 생각을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다른 분야에선 가격의 차이가 크면 처음부터 품질이 확실히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가격에.. 더보기 휴대폰과 DAC, 음질을 위해서라면? 어느 순간부터 우리는 휴대폰을 통해 음악을 듣게 되면서 mp3를 사용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굳이 사용할 필요도 없고요. 그런 지금, mp3와 비슷하게 음악과 관련된 기능만 지원하는 (일부 DAP 제외) DAP를 왜 사용하는 것일까요? 어떻게 살아남아 있는 걸까요?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mp3에서 DAP로 시간이 지나며 메가 바이트(MB)의 용량도 많다고 생각하던 우리가 기가바이트(GB)도 부족하다고 하는 시대가 왔습니다. 통신 속도도 점점 빨라지며, 720p로 보던 실시간 방송도 지금은 4k의 화질로 보고 있죠. 이런 통신 속도와 용량의 발전은 음악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용량에 대한 발전으로 당시 MB대의 용량으로 인해 음악의 손실을 감수하고 파일을 압축(mp3) 해 듣던..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