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향 관련/헤드폰

HD400PRO = HD560S 이번에 HD400PRO 리뷰글을 올리고 카페에 공유해보니 한 회원분이 알려주시더라고요. 젠하이저가 HD400PRO는 HD560S의 도색을 바꾸고 돼지 케이블을 넣은 제품이라고 했다고 하더군요. 어쩌다보니 HD560S도 같이 리뷰를 해버린 꼴이 되었습니다. (리뷰 복사 버그가;;) 뭐 또 알아보니까 소리가 미묘하게 다르니 뭐니~ 할 수 있으니 560s를 들어보지 못한 저로썬 확연하게 같은 소리다! 이렇게 말씀드릴 순 없을 것 같고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560s와 소리가 같다면 HD560S가 인기 많은 이유가 있군요 ㅋㅋ 신기한 경험 했습니다. 수입사도 몰랐다고... 젠하이저의 새로운 기준. HD400PRO 리뷰 (tistory.com) 젠하이저의 새로운 기준. HD400PRO 리뷰 머리말 리뷰를 시.. 더보기
젠하이저의 새로운 기준. HD400PRO 리뷰 머리말 리뷰를 시작하기 앞서 이번 젠하이저의 신제품 HD400PRO가 기존 HD500번대 시리즈와 외형이 비슷해 소리 나 수준이 비슷하다고 여기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먼저 설명드리자면 지금 리뷰하는 HD400PRO는 젠하이저의 PRO 라인업으로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홈 오디오용으로 제작된 HD500 시리즈와는 결이 다릅니다. HD400PRO의 비교 대상은 HD600, 660s라고 봅니다. 젠하이저 젠하이저는 1945년에 전기 공학자 출신의 프리츠 젠하이저(Fritz Sennheiser) 박사가 설립한 이후 믹싱, 녹음, 청음, 모니터링, 스테이지 등 음악과 관련된 모든 곳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청취 기기의 한 획을 그은, 오픈형이라는 하나의 헤드폰 장르를 만들어내고 몇십 년은 족히 군림한 HD6.. 더보기
젠하이저 신제품 HD400PRO 간단후기입니다. 12월 2일 어제 발표된 젠하이저의 신제품 HD400PRO입니다. 기존 HD500시리즈와 외형이 비슷해서 많이들 HD500번대와 비교를 하시는데요. 지금까지 1시간 정도 청음 한 바에 따르면 500과 비교할 수준이 아니라 600 혹은 660s와 비교해봐야 한다고 봅니다. ​ 일단 성향은 레퍼런스입니다. 프로용이니까 어찌보면 당연할 수도 있겠죠. 스튜디오에서 사용되는 제품이라고 봅니다. 오픈형인 것도 그렇고 HD600과 비슷한 성향입니다. 다만 더 파고들자면 극저역으로 갈 수록 롤오프 되어 저역 양감이 느껴지지 않는 HD600과는 다르게 HD400PRO는 비교적 약간 더 극저역과 중저역이 살아있습니다. 볼륨을 올리면 올릴 수록 극명해지고요. (크게 저역이 올라온다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제가 현재 갖고.. 더보기
젠하이저 프로 헤드폰 사운드 - HD300PRO 젠하이저 젠하이저는 1945년에 전기 공학자 출신의 프리츠 젠하이저(Fritz Sennheiser) 박사가 설립한 이후 믹싱, 녹음, 청음, 모니터링, 스테이지 등 음악과 관련된 모든 곳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청취 기기의 한 획을 그은, 오픈형이라는 하나의 헤드폰 장르를 만들어내고 몇십 년은 족히 군림할 HD600이라는 엄청난 베스트셀러를 만들어내기도 하였습니다. 소리의 해상도와 DD(다이나믹 드라이버)의 한계를 매번 최대한으로 끌어올리는 젠하이저. 오늘은 저번에 리뷰한 HD200PRO의 상급 버전, HD300PRO에 대해 리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패키지​ 패키지 앞면입니다. 젠하이저 패키지 특유의 깔끔한 디자인을 갖추고 있습니다. 패키지의 옆면과 뒷면입니다. 옆면에는 HD300PRO의 특징과 다른 제.. 더보기
젠하이저의 가성비 프로용 헤드폰 - HD200PRO 머리말 IE40PRO에 이어 오늘도 젠하이저가 저의 추억을 만드네요. 드디어 제 블로그 첫 정식(노력을 곁들인) 헤드폰 리뷰입니다. 이번에도 젠하이저 관련 업계 분들(젠샵, 지노프로)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기존에 사비로 구매한 HD599에 이어 대여받았던 IE40PRO, IE400PRO, 현재 리뷰 준비를 위해 청음 중인 HD300PRO, IE100PRO까지 모두 준수하고 뛰어난 음질을 들려주니 전 그만 젠하이저 팬이 되어버린 것 같습니다. 젠하이저 저의 IE40PRO, IE400PRO 리뷰글을 보신 분들은 더 이상 젠하이저에 대해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될 겁니다. 너무나 유명한 이 음향기기 브랜드는 거의 모든 소리에 관한 작업을 할 때 사용되었을 것이 분명하며 좋은 음질의 대명사로 자리 잡고 있.. 더보기
젠하이저 HD599 리뷰 베이어다이나믹, AKG와 함께 3대 헤드폰 회사라 불리는 젠하이저 HD414라는 최초의 오픈형 헤드폰을 만들고, 20년이 넘게 사랑받는 헤드폰, HD600을 만든 걸로도 유명하죠. 그런 젠하이저에서 만든 HD599에 대해 리뷰해볼까 합니다. 아마 포장에 대해 이상한 느낌을 받을 수 있는데요. 제가 산 제품은 HD599SE라는 헤드폰 및 구성은 모두 같지만 포장 방식이 더 저렴한 버전을 산 겁니다. 베이직 색깔로 된 HD599는 좀 더 고급스럽게 포장되어 있고요.(색깔별 소리 차이, 구성품 차이는 전혀 없습니다.) HD599 헤드폰, 기본으로 꽂혀있는 2.5 to 6.3 케이블, 2.5 to 3.5 케이블, 6.3 to 2.5 변환 젠더 이렇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젠더를 꽂고 돌려서 고정하는 형식입.. 더보기
베이어다이나믹 dt240pro 이번 제품을 소개하기에 앞서, 우선 베이어다이나믹이라는 회사에 대해 소개할 필요가 있습니다. 베이어다이나믹의 설립자인 유겐 베이어는 당시 마이크, 스피커에 들어가는 다이나믹 기술을 활용해서 소리를 의도치 않게 듣는 다른 사람에게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한 방법으로 한 사람만이 들을 수 있는 소형 스피커를 발명했는데요. 그게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헤드폰의 시작이었습니다. (2019년 아직까지도 베이어다이나믹에서 1937년 헤드폰에 최초로 사용한 다이나믹 드라이버 기술이 대다수 사용되는 것으로 보아 이 기술의 안정성과 기술력은 이미 보장되었고, 대체할 기술을 아직 개발, 양산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최초의 다이나믹 헤드폰을 발명한 것 외에도 베이어다이나믹에선 이 밖에도 2006년 가상 5.1 채널 사운드.. 더보기
KOSS(코스) 포타 프로(PORTA PRO) 리뷰! -5번째 글- 저번 KSC75 제품과 같은 회사인 코스(KOSS) 이 코스라는 회사는 최초로 스테레오 헤드폰을 만든 것으로 유명한데요. 현재는 마니아들을 제외하면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 않은 브랜드죠. 이 코스라는 회사의 특징은 시대를 역행하는 디자인이지만 엄청난 가성비로 디자인과 음질을 바꿔 먹는다는 브랜드입니다. 오늘 소개할 제품은 1980년대부터 생산, 지금까지 단종되지 않고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코스의 포타 프로(PORTA PRO)입니다. 제품을 받고 어? 하고 놀란 점이 있었는데요, 다른 분들의 리뷰를 보면 제품과 주머니만 있었는데 제가 받은 포타 프로는 다른 리뷰들과 다르게 케이스도 그렇고.. 다른 방식의 포장을 해줬더라고요. 이유는 아직까지도 찾지 못했습니다. (다른 포타 프로 리뷰들은 .. 더보기